출처/프로그래머스
● 문제 설명
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 주어진 수가 1이 될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입니다.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로 나눕니다.
1-2. 입력된 수가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합니다.
2. 결과로 나온 수에 같은 작업을 1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수가 6이라면 6→3→10→5→16→8→4→2→1 이 되어 총 8번 만에 1이 됩니다. 위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하는지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단, 작업을 500번을 반복해도 1이 되지 않는다면 –1을 반환해 주세요.
● 제한 사항
- 입력된 수, num은 1 이상 8000000 미만인 정수입니다.
● 입출력 예
n | result |
6 | 8 |
16 | 4 |
626331 | -1 |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설명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16 -> 8 -> 4 -> 2 -> 1 이되어 총 4번만에 1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626331은 500번을 시도해도 1이 되지 못하므로 -1을 리턴해야합니다.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num) {
var answer = 0;
if(num == 1){
return answer;
}
function Collatz(num) {
num = num % 2 == 0 ? num / 2 : num * 3 + 1;
answer++;
return num == 1 ? answer : Collatz(num);
}
return Collatz(num) <= 500 ? answer : -1;
}
Collatz 함수 내에서는 num이 1이 아닐 경우에는 answer에 1을 더한 후 계속 반복하며, 1일 때 answer를 return 하며 종료된다.
후기
문제의 '작업 2'를 보며, 재귀 함수로 풀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재귀 함수로 풀고 제출을 하니 계속 13번 test에서 실패가 떴다.
알고 보니, num이 1일 경우 예외 처리를 해주어야 한단다.
1이 들어가도 result가 3으로 잘 나오고, 그렇다고 문제에 1일 경우의 제한 사항 등을 적어놓지 않아 내심 의아하여 찾아보았는데,
다른 곳은 '임의의 자연수' 라고 명시되어 있으나,
나무 위키에는 '1을 제외한 임의의 자연수' 라고 명시되어 있는 것을 보고 어느 정도 의아함이 사라지긴 하였다.
// 다른 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num, count=0){
return num == 1 ? (count < 500 ? count : -1) : solution(num%2==0 ? num/2 : num*3+1, ++count);
}
추가적으로,
num이 1일 때의 조건문과 함수 안의 함수가 보기 싫어서 solution이라는 함수 자체를 재귀 함수로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데, count를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고 기본값 매개변수를 알게 되었고, 내가 원하던 코드도 짤 수 있었다.
(내가 짠 것은 아니지만, 다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확실히 나의 것으로 만들어야겠다.)
'Programmers > Level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2) | 2022.05.12 |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시저 암호 (0) | 2022.05.12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 (0) | 2022.05.09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소수 찾기 (0) | 2022.05.05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같은 숫자는 싫어 (0) | 2022.05.04 |